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7. 7世 〉16. <부정공>이로재중수기(履露齋重修記)
1. 문헌 목록 〉7. 7世 〉18. <부정공>이로재상량문(履露齋上樑文)
1. 문헌 목록 > 7. 7世 >  
17.<부정공>이로재상량문(履露齋上樑文)
履露齋上樑文 東南山水灣回衣冠之藏久遠能與天地終始上下棟宇建置齋庖之所感慕自多霜露春秋秩秩斯干洋洋如在恭惟我相好亭府君而學問師法於家庭咡詔肆友愛益篤於兄弟講磨不愧天不怍人永保三樂而無故庸德行庸言謹聿勉四道之未能珪組軒裳自勝國而連續氷壺霜照陰塗而澈清顧自少相聯棣萼之華迺至老始營臺榭之構敍天倫於一室殆類姜氏之與仲季共枕衾溢和氣於四房復見楊公之間朝暮授匙著傳百世而悌有以屢致洪尚書起敬於歎服再盡而友不衰足徵奇蘆沙記實之讃亦越我梅窓府君資質禀於二儀健順心法得於古經試書切問而近思不出日用事物之外下學而上達深究天道性命之原搢紳東西行疑可質而德可考禮樂先後進筯尤固而氣尤平不惟止當世之柯則盖亦爲來許之模範懷利器而明大義啓遵晦有道曾孫勤切磋而抱遺編與靑莎盍簪朋友小亭取二樂之義猶餘昔日吟哦舊院想百年之禋不禁多士嗟悼惟玆堂斧世厝之隴僉同齋閣創立之謀卜筮協從膺神休於玉瓦之丸陰陽和會得地理於圭臬之正競共力而呼邪運材木於左右巖谷樂赴功而趨事輸瓦縫於五十里程今適値日月歲申休遂與落大小子姓美哉輪美哉奂侔古人頌禱之聚族於斯思其嗜思其居致今日容聲之出戶而聽財簿贏縮吿勘致瑞氏之我獨賢勞祭式豊儉中儀監役公之此令兄弟抛樑東黃田門裏五經通勤王千里賢司馬軍令分明義氣雄西廣清江畔月華低釣臺老石蒼苔面尚有三灘舊日題南準海茫茫孝思覃篷豆既嘉時物薦瀛洲地產上黃柑北蓮潭秋水共天色亭亭藕下龜深藏事可稽疑且衍忒上陟降精靈格欝鬯三日爲齊能見齊焄蒿之氣又悽愴下江南全幅盤山野圭田十頃稻梁登執爨孚誠竟錫嘏伏願上樑之後燕雀新賀殷禮肇穪欂櫨椳闌其各宜上天則昭回營室禴祀烝甞爲蠲吉後昆焉精純持心 이로재상량문(履露齋上樑文) 동쪽 남쪽 산과 물이 유택에 영원히 굽이쳐 흐르니 능히 천지로 더불어 종시(終始)를 함께하겠고 위아래 동우(棟宇)에 재계하고 푸주할 곳을 두어 감격한 생각을 갖게 하니 서리 이슬 내리는 봄가을에도 끄떡없겠네. 공경하고 엄숙한 이 난간에 가히 없이 계신 것 같도다. 삼가 생각하니 우리 상호정 부군(相好亭府君)은, 학문은 가정의 구전심수(口傳心授)를 스승으로 배우고 우애는 형제와 강구하고 연마하는 데, 더욱 독실하였네.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사람에게도 부끄럽지 아니하여 길이 세 가지⑱즐거움을 보유(保有)하여 아무 탈이 없었고 덕을 향하여 말을 삼가서 마침내 四도(四道)⑲에 능하지 못함을 힘썼네. 규조헌상(珪組軒裳)은 고려로부터 연이어 왔고 빙호상경(氷壺霜鏡) 같은 결백한 지절은 음도(陰塗)에 빛나 더욱 맑았네. 돌아보건대 젊어서부터 형제간에 우애가 두텁더니 늙음에 이르러 비로소 상호정을 지었네. 한 집에서 천륜(天倫)을 폈으니 자못 강 씨(姜氏)의 중계(仲季)로 더불어 베개와 이불을 함께한 것 같고, 화기(和氣)가 四방(四房)에 넘쳤으니 다시 양공(陽公)이 아침저녁 식사를 물은 것을 보겠도다. 백세를 전하여 효제한 것은 자주 홍상서(洪尚書)의 감탄에 공경한 마음을 불러일으켰고 복이 두 번 다하도록 우애함이 시들지 아니한 사실은 기노사(奇蘆沙)⑳의 실적을 기록한 찬사가 증거 되겠네. 또 이에 우리 매창부군(梅窓府君)은 자질은 음양(陰陽)의 굳세고 순함을 받았고 심법(心法)은 옛 글과 시서에 얻었네. 간절히 묻고 가까이 생각한 것은 날로 쓰는 사물(事物) 밖에 지나지 아니하고 아래로 인사(人事)를 배워서 위로 천리를 통달하여 깊이 천도성명(天道性命)의 근원을 연구하였네. 큰 띠를 떨치고 동서로 다니며 의심난 것은 질정하고 덕을 상고하였으며 예악을 선후로 본받아 힘줄이 더욱 단단하고 기운은 평탄하였네. 오직 당세의 가까운 법칙이 될 뿐만 아니라 대개 또 장래의 모범이 되겠네. 날카로운 그릇을 품고 큰 의리를 밝혀 도덕 있는 증손으로 계발(啓發)하여 주고 강마(講磨)를 부지런히 하며 물려준 책으로 적은 정자는 二락(二樂)의 뜻을 취하니 오히려 옛날을 읊던 모습이 남았고 옛 서원은 백년간 제 지내던 일을 상기시켜 많은 선비의 슬픔을 금하지 못하게 하네. 오직 이 위의 있는 세장(世葬)의 언덕에 여러 자손이 제각창건(齋閣創建)의 의론을 함께 하였네. 시귀(蓍龜)가 협종(協從)하여 천리의 신기하고 아름다움을 응하고 음양이 화회하여 지리의 법도가 바름을 얻었네. 다투어 가며 힘을 합쳐 소리 높여가며 재목을 좌우 암곡(岩谷)에서 운반하고 공을 세우기 위하여 일을 맡아 기와를 五十리 먼 길에서 실어 왔네. 이제 마침 좋은 날을 만나 마침내 낙성하니 대소자성(大小子姓)이 함께하네. 아름답다, 높고 빛나고 밝음이여! 옛사람을 모방하여 종족을 이에 모아 송도(頌禱)하였으며 그 즐겨하던 것을 생각하고 그 거처를 생각하여 오늘날 음성과 형용을 문 밖에 나와 들을 수 있게 하였네. 재정을 결산하여 서 씨(瑞氏)의 나 홀로 어질게 노력하였음을 나타냈으며 제식(祭式)이 풍성하고 깨끗하니 이는 감역공의 이름 높은 형제로다. 들보를 동쪽에 밀치니 東 황전문 속에 다섯 길이 나있도다 黃田門裏五經通 천 리를 국난에 다다른 어진 사마가 勤王千里賢司馬 군령이 분명 의기의 웅대함이었네. 軍令分明義氣雄 西 광청강가에 달빛이 나직하네. 廣清江畔月華低 낚시터 늙은 돌은 푸른 이기가 끼었는데 釣臺老石蒼苔面 오히려 三탄공의 예글씨가 보이네 尚有三灘舊日題 南 평평한 바다는 아득하고 효도할 생각은 깊다. 準海茫茫孝思覃 아름다운 변두에 철물을 올리니 籩豆既嘉時物薦 제주도산 감귤이었네 瀛洲地產上黃柑 北 연이 잠긴 가을못물이 하늘빛과 같도다 蓮潭秋水共天色 정정한 연뿌리 밑에 거북이 깊이 숨었고 亭亭藕下龜深藏 일은 가히 의심과 또 허물이 풀렸네. 事可稽疑且衍忒 上 오르내린 정령이 향불 따라 이르셨네. 陟降精靈格欝鬯 三일 재계로 능히 경숙함이 보이니 三日爲齊能見齊 향기로운 기운이 피어오른다. 焄蒿之氣又悽愴 下 강남 전체가 산과 들이 반반이구나 江南全幅盤山野 제전 열 이랑에 풍년이 드니 圭田十頃稻梁登 제수를 숙정한 깊은 정성에 마침내 복을 주었다. 執爨孚誠竟錫蝦 엎드려 원하건대 상량한 뒤에 제비가 새로 하례하여 성대한 예를 비로소 맞게 하고 기둥머리 四각 목재와 문돌쩌귀 문지방이 각기 그 자리에 맞게 한 뒤 상천은 밝게 제실을 돌보아 춘수향사에 조촐하고 길하게 하며 후손들은 정순한 마음을 가지게 하소서! 註 ⑱세 가지 즐거움(三樂): 군자의 세 가지 낙. 첫째 부모가 구존(俱存)하고 형제가 무고한 것. 둘째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셋째 천하의 영재(英材)를 얻어서 교육하는 일. ⑲사도(四道): 군자가 지켜야 할 네 가지 도리. 행동은 공손히, 일은 공경하게, 백성을 은혜로, 백성은 의리로 부리는 일
 
1. 문헌 목록 〉7. 7世 〉16. <부정공>이로재중수기(履露齋重修記)
1. 문헌 목록 〉7. 7世 〉18. <부정공>이로재상량문(履露齋上樑文)